친환경농업육성
- 분야별정보
- 농업
- 친환경농업
- 친환경농업육성
친환경농업의 필요성
농산물 생산 극대화의 관행을 넘어 소비자를 생각하는 관점으로 농업환경과 자연보전을 동시 추구하는 친환경농업 육성. 농업인에게는 머무르고 싶은 농촌, 도시민에게는 다시 찾고 싶은 농촌건설을 위해 친환경 농업 육성, 어려운 농촌경제 회생과 국제경쟁시대 대응
우리군 친환경농업의 유리성
타 지역에 비해 청정지역이 많아 생산 여건이 좋으며, 홍천강의 발원지로서 전국 최다 청정지역 보유로 친환경농산물 생산적지. 전체면적의 84.8%를 산림이 차지하고 있어 대기 정화능력이 강한 특성이 있고, 인구 밀도가 낮고 산업 폐수 등 오염원유입이 적어 농약·화학 비료의 최소화 실현이 가능. 소비자들이 홍천 하면 청정 이미지를 연상하고 있고 농산물 역시 청정하다는 이미지가 각인되어 있어 타 지역에 비해 경쟁력이 있음
친환경 농산물 유통
다품목 소량 생산, 경매방식과는 다른 직거래 및 전문유통업체에 의한 유통 비중이 높음. 최근 안전식품에 대한 욕구가 증가 하면서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도 다양화 되고 초기 소비자단체 등에 의한 직거래 중심에서 전문 유통업체 및 대형 할인점 등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임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
정부가 지정한 전문 인증기관이 농축산물의 생산 전 과정이 친환경 인증기준에 적합한 지를 심사하여 인증서를 교부하고 친환경농축산물로 인증한 제품에만 인증표시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
- 농산물: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 축산물: 유기축산물, 무항생제축산물
친환경 농업 정책방향 및 목표
친환경 안전농산물 공급으로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우리 농산물의 품질 경쟁력을 향상 시키고 농가 소득도 제고하며 생산성 위주의 고투입 농법에서 벗어나 국토환경보존에도 기여하는 것임
목표는 경쟁력 있는 친환경농업 육성이며 이를 위한 주요시책으로는 친환경농자재 지원확대, 친환경농업 직접지불 확대, 친환경농업 실천기반확충 및 실천농가 지원, 친환경농산물 유통활성화지원, 환경친화형 땅심높이기 지원, 친환경농산물 홍보 마케팅 강화 등에 두고 있음.이제 친환경농업 실천은 시대적 요구가 되었으며, 개방화 시대 우리농업의 활로는 친환경농업을 통해 자연과 환경을 보전하고 우리 농업이 가지는 다원적 공익기능을 널리 알려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하는 농업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임
관련법규
-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관련기관
도내 친환경 인증기관
인증기관명 | 주소 | 연락처 |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강원지원 홍천사무소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홍천로 669 | 033-435-6060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 033-250-7268 |
위써트인증원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능라동길 63, 404호 | 033-732-42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