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정보

아프리카돼지열병 (ASF)

  1. 홈
  2. 분야별정보
  3. 축산
  4. 가축방역정보
  5. 아프리카돼지열병 (ASF)
아프리카돼지열병 개요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ASF)은 국내에서는 2019년 경기도 파주시에서 최초로 발생한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출혈성 돼지 전염병으로 이병률이 높고 급성형에 감염되면 치사율이 거의 100%에 이르기 때문에 양돈 산업에 엄청난 피해를
주는 질병입니다.
질병이 발생하면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발생 사실을 즉시 보고해야 하며 돼지와 관련된 국제교역도 즉시 중단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이 질병을 가축전염병예방법상 제1종 법정전염병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사람이나 다른 동물은 감염되지 않고 돼지과(Suidae)에 속하는 동물에만 감염이 이루어집니다.

전염경로

  • 감염성이 있는 침, 호흡기 분비물, 오줌과 분변에 바이러스가 대량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과 접촉하면 효과적으로 전파됨. 돼지가 죽은 후에도 혈액과 조직에 바이러스가 존속 가능함. 부검 중 또는 돼지들끼리 싸우는 중에 흘린 피, 혈액이 섞인 설사 등으로 인해 환경에 바이러스가 대량으로 오염될 수 있음.
  • 환경에 저항성이 강한 ASFV가 오염된 차량, 사료 및 도구 등 비생체 접촉매개물(fomites)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도 있음. 장거리 간접전파 방법 중 한 가지는 열처리하지 않은 돼지고기 산물로 오염된 잔반을 돼지에 급여시 발생하는데, 덜 조리된 돼지고기, 건조·훈연·염장 처리된 돼지고기, 혈액, 돼지에서 유래한 사체 잔반(carcass meal) 등을 돼지에 급여하면 질병이 전파될 수 있음. (바이러스는 말린 고기에서 300일, 냉동고기에서는 1,000일 생존이 가능함.)
  • 참고 : 유럽의 ASF 발생원인별 비율
아프리카돼지열병 전염경로 - 발생원인, 비율(%)순으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발생원인 비율(%)
감염원(생축, 축산물)의 이동 38
잔반 급이 34
ASF 감염 야생멧돼지 접촉 2
사람에 의한 직접 접촉 1
기타 25

증상

초기 ASF 임상증상은 비특이적이나 고열은 특징적임. 그 결과 소화기·호흡기의 기능불능이 발생하고 각 장기의 충출혈이 발생하며 급성형의 경우 3~7일 이내에 90~100% 폐사하게 됨.

  • a : 발열상태의 허약한 돼지들이 한데 겹쳐 있음
  • b : 사지말단, 목, 복부의 뚜렷한 충혈소견
  • c : 사지말단, 목, 복부의 뚜렷한 충혈소견
  • d : 사지말단, 목, 복부의 뚜렷한 충혈소견
  • e : 사지말단, 목, 복부의 뚜렷한 충혈소견
  • f : 귀끝 부분의 청색증
  • g : 복부, 목, 귀 피부의 괴사병변
  • h : 복부, 목, 귀 피부의 괴사병변
  • i : 복부, 목, 귀 피부의 괴사병변
  • A : 발열상태의 허약한 돼지들이 한데 겹쳐 있음
  • B-E : 사지말단, 목, 복부의 뚜렷한 충혈소견
  • F : 귀끝 부분의 청색증
  • G-I : 복부, 목, 귀 피부의 괴사병변

( 출처 : FAO-ASF Manual 2017 )

예방 및 치료

  •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예방 대책이 필수적임.
  • 양돈농장의 경우, 축사 내외부의 소독실시 및 외부 차량 및 출입자에 대한 통제, 울타리 설치 등을 통한 야생멧돼지와의 접촉 차단 실시
  • 중국, 베트남 등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국에 대한 방문을 자제하고, 방문 후에는 축산농가 방문을 금지
  • 양돈농장, 양돈산업 종사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 자국의 축산물을 휴대와 우편 등으로 반입하는 것을 금지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축산과 동물방역팀
  • 전화번호 033-430-2731
  • 최종수정일 2023.01.02